资讯分类
[‘범죄도시4’ 천만] 흥행 명암, 극장 살리고 무엇을 놓쳤나③
来源:3377TV人气:153更新:2024-05-14 06:00:28
사진=연합뉴스 제공
‘범죄도시4’가 흥행에 성공하면서 영화 외적으로도 다양한 평가가 쏟아지고 있다. 여름 성수기 시장이 오기 전 극장가 활기를 북돋웠다는 의견이 주를 이루는 가운데, 한국영화의 고질적 문제인 양극화 현상이 도드라졌다는 지적도 나온다.
◇명(明). 성공적인 극장가 심폐 소생
이번 ‘범죄도시4’의 흥행은 위축됐던 영화산업에 다시 한번 활력을 불어넣었다는 점에서 더없이 고무적이다. 해외 영화산업이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에 가까워지고 있는 것과 달리 한국 영화산업은 유난히 더딘 회복세를 보여왔다. 엔데믹 선언 후에도 1년 이상 이 같은 흐름이 지속되면서 일각에서는 장기 침체 우려마저 나오기 시작했다.
물론 분위기 반전이 없었던 건 아니었다. 지난 연말 ‘서울의 봄’에 이어 올 초 ‘파묘’가 1000만 관객을 돌파하며 극장가에 반짝 활기가 돌았다. 다만 이들 영화의 열기가 식으면서 관객수는 다시 하락 곡선을 그렸다.
‘범죄도시4’는 흥행세를 이어갈 대안이 간절하던 찰나, 최적기 출격해 주춤했던 극장가를 단박에 소생시켰다. 실제 ‘범죄도시4’ 개봉 직후 일주일(4월24~30일) 동안 극장을 찾은 총관객수는 527만 3533명으로, 직전 일주일(4월17일~23일, 총관객수 88만 9138명) 대비 493% 늘었다.
‘범죄도시4’ 개봉 시점이 극장가 비수기란 점을 고려하면 더욱 의미 있는 성과다. 통상 관객수는 학생들의 개강과 야외 활동이 늘어나는 3월부터 급감한다. 때문에 한국영화들은 대체로 이 시기 개봉을 기피하는데 ‘범죄도시4’는 전 시리즈의 경험을 발판 삼아 정면 대결을 결정, 자체 관객수와 함께 전체 관객수까지 끌어올렸다.
황재현 CGV 전략지원담당은 “‘파묘’에 이어 ‘범죄도시4’까지 성공하면서 관람객수가 빠르게 회복되고 있다. 지난해 회복률이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55% 수준이었는데 올해는 60~70%까지 기대된다”고 전망하며 “기세가 여름 성수기로 이어진다면 그 이상의 회복도 기대할 만하다”고 말했다.
◇암(暗). 여전한 ‘허리 영화’ 부재
다만 ‘범죄도시4’ 흥행으로 극장가의 고질적 문제점도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흥행 면에서나 다양성 면에서나 한국영화의 허리를 지탱하는 작품들이 사라지고 있다는 거다. 최근 개봉한 한국영화들의 성적을 살펴보면 ‘대박’과 ‘쪽박’, 양극단으로 나뉜다. 영화의 성공 기준인 손익분기점(BEP) 돌파 작품 역시 천만 영화 아니면 저예산 영화들뿐이다.
사실 허리 영화 부재는 최근 몇 년간 한국영화의 위기론과 함께 꾸준히 제기된 문제다. 지난해만 해도 300만 이상 관객을 동원한 한국영화 중 BEP를 돌파한 건 천만 영화 ‘서울의 봄’, ‘범죄도시3’를 제외하고는 ‘밀수’가 전부다. ‘30일’, ‘잠’ 또한 수익은 냈지만, BEP가 각각 160만, 80만명으로 기준점이 낮았다.
올해도 흐름은 이어졌다. 상반기 BEP를 넘어선 한국영화는 ‘범죄도시4’를 포함해 단 세 편에 불과하다. 나머지 두 편은 천만 영화 ‘파묘’와 저예산 영화 ‘소풍’으로, 누적관객수는 각각 1189만명, 34만명이다. 약 35배에 가까운 간극은 한국영화 허리의 부재를 통감하게 한다.
투자·배급사 한 관계자는 “최근 관객들의 관람 패턴을 살펴보면 다소 극단적인 경향이 있다”며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서는 흐름에 따를 수밖에 없고 그렇다 보니 흥행 가능성이 큰 영화들에 더 힘을 줄 수밖에 없다. 어떻게 보면 악순환인 셈”이라고 말했다.
윤성은 영화평론가는 “제작, 투자사 입장에선 가능성이 큰 작품에 투자해야 안정적이다 보니 양극화가 더 심화되고 있는 것”이라고 짚으며 “산업을 위해서는 중간 규모의 영화는 필요하고 그러기 위해선 젊은 감독, 창의적인 아이디어에 대한 투자, 개발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장주연 기자 jang3@edaily.co.kr
‘범죄도시4’가 흥행에 성공하면서 영화 외적으로도 다양한 평가가 쏟아지고 있다. 여름 성수기 시장이 오기 전 극장가 활기를 북돋웠다는 의견이 주를 이루는 가운데, 한국영화의 고질적 문제인 양극화 현상이 도드라졌다는 지적도 나온다.
◇명(明). 성공적인 극장가 심폐 소생
이번 ‘범죄도시4’의 흥행은 위축됐던 영화산업에 다시 한번 활력을 불어넣었다는 점에서 더없이 고무적이다. 해외 영화산업이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에 가까워지고 있는 것과 달리 한국 영화산업은 유난히 더딘 회복세를 보여왔다. 엔데믹 선언 후에도 1년 이상 이 같은 흐름이 지속되면서 일각에서는 장기 침체 우려마저 나오기 시작했다.
물론 분위기 반전이 없었던 건 아니었다. 지난 연말 ‘서울의 봄’에 이어 올 초 ‘파묘’가 1000만 관객을 돌파하며 극장가에 반짝 활기가 돌았다. 다만 이들 영화의 열기가 식으면서 관객수는 다시 하락 곡선을 그렸다.
‘범죄도시4’는 흥행세를 이어갈 대안이 간절하던 찰나, 최적기 출격해 주춤했던 극장가를 단박에 소생시켰다. 실제 ‘범죄도시4’ 개봉 직후 일주일(4월24~30일) 동안 극장을 찾은 총관객수는 527만 3533명으로, 직전 일주일(4월17일~23일, 총관객수 88만 9138명) 대비 493% 늘었다.
‘범죄도시4’ 개봉 시점이 극장가 비수기란 점을 고려하면 더욱 의미 있는 성과다. 통상 관객수는 학생들의 개강과 야외 활동이 늘어나는 3월부터 급감한다. 때문에 한국영화들은 대체로 이 시기 개봉을 기피하는데 ‘범죄도시4’는 전 시리즈의 경험을 발판 삼아 정면 대결을 결정, 자체 관객수와 함께 전체 관객수까지 끌어올렸다.
황재현 CGV 전략지원담당은 “‘파묘’에 이어 ‘범죄도시4’까지 성공하면서 관람객수가 빠르게 회복되고 있다. 지난해 회복률이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55% 수준이었는데 올해는 60~70%까지 기대된다”고 전망하며 “기세가 여름 성수기로 이어진다면 그 이상의 회복도 기대할 만하다”고 말했다.
◇암(暗). 여전한 ‘허리 영화’ 부재
다만 ‘범죄도시4’ 흥행으로 극장가의 고질적 문제점도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흥행 면에서나 다양성 면에서나 한국영화의 허리를 지탱하는 작품들이 사라지고 있다는 거다. 최근 개봉한 한국영화들의 성적을 살펴보면 ‘대박’과 ‘쪽박’, 양극단으로 나뉜다. 영화의 성공 기준인 손익분기점(BEP) 돌파 작품 역시 천만 영화 아니면 저예산 영화들뿐이다.
사실 허리 영화 부재는 최근 몇 년간 한국영화의 위기론과 함께 꾸준히 제기된 문제다. 지난해만 해도 300만 이상 관객을 동원한 한국영화 중 BEP를 돌파한 건 천만 영화 ‘서울의 봄’, ‘범죄도시3’를 제외하고는 ‘밀수’가 전부다. ‘30일’, ‘잠’ 또한 수익은 냈지만, BEP가 각각 160만, 80만명으로 기준점이 낮았다.
올해도 흐름은 이어졌다. 상반기 BEP를 넘어선 한국영화는 ‘범죄도시4’를 포함해 단 세 편에 불과하다. 나머지 두 편은 천만 영화 ‘파묘’와 저예산 영화 ‘소풍’으로, 누적관객수는 각각 1189만명, 34만명이다. 약 35배에 가까운 간극은 한국영화 허리의 부재를 통감하게 한다.
투자·배급사 한 관계자는 “최근 관객들의 관람 패턴을 살펴보면 다소 극단적인 경향이 있다”며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서는 흐름에 따를 수밖에 없고 그렇다 보니 흥행 가능성이 큰 영화들에 더 힘을 줄 수밖에 없다. 어떻게 보면 악순환인 셈”이라고 말했다.
윤성은 영화평론가는 “제작, 투자사 입장에선 가능성이 큰 작품에 투자해야 안정적이다 보니 양극화가 더 심화되고 있는 것”이라고 짚으며 “산업을 위해서는 중간 규모의 영화는 필요하고 그러기 위해선 젊은 감독, 창의적인 아이디어에 대한 투자, 개발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장주연 기자 jang3@edaily.co.kr